틀리기 쉬운 우리 말
틀리기 쉬운 우리 말 - 개시와 게시와 계시
슈라。
2015. 2. 28. 10:10
'개시'와 '게시'
우리 말 중에는 발음이 비슷해서 헷갈리기 쉬운 단어들이 많이 있습니다. '개시', '게시', '계시'도 그 중 하나의 예로 볼 수 있는데요.
정확한 의미를 전달해야 하는 신문 기사나 방송에서도 종종 틀리게 사용하는 걸 보게 되는 단어들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'개시'와 '게시' 그리고 '계시'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'개시'의 사전적 의미
|
(참고 : 국립 국어원 표준 국어 대사전)
'게시'의 사전적 의미
|
(참고 : 국립 국어원 표준 국어 대사전)
'계시'의 사전적 의미
|
(참고 : 국립 국어원 표준 국어 대사전)
'개시'와 '게시'와 '계시'의 구분
발음이 비슷한 세 단어를 단번에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찾기 어렵습니다. 하지만 세 단어의 의미를 잘 알아 두면 구분하는 데 도움이 되겠죠. 그 중에서도 세 단어의 음이 다른 '개', '게', '계'의 한자와 그 의미를 기억해 두면 구분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.
- 개시의 개(開) : 열다.
- 게시의 게(揭) : 걸다.
- 계시의 계(啓) : 가르치다. 인도하다.
한자와 함께 알아 두세요~.
이상으로 '개시', '게시', '계시'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