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절과 일체
우리가 사용하는 단어 중에는 한자로 이루어져 있고 음에 따라서 그 의미가 달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.
그 중에는 국어책에 단골 손님으로 나오는 '일절(一切)과 일체(一切)'가 있습니다. 교과서에서는 흔히 잘못 사용한 예로 '안주 일절'이 등장하기도 하죠.
이번 글에서는 일절과 일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일절(一切)의 사전적 의미
|
(참고 : 국립 국어원 표준 국어 대사전)
일체(一切)의 사전적 의미
- 안전 담당이 연수가 안전에 대한 일체를 책임지기로 했다. |
(참고 : 국립 국어원 표준 국어 대사전)
일절과 일체의 구분
일절과 일체는 모두 같은 한자로 이루어진 단어로 切의 음과 훈에 따라 단어의 쓰임과 의미가 달라집니다.
- 切이 끊다의 의미일 때는 절
- 切이 온통, 모두의 의미일 때는 체
한자의 음과 훈을 잘 알아두면 단어를 사용할 때 헷갈리지 않겠죠~
끊다의 의미로 사용되는 일절. '일절 금지!' 하면 절(切)의 의미처럼 부정적으로 딱 잘라 말하는 느낌이 오지 않나요?
이상으로 일절과 일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'틀리기 쉬운 우리 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틀리기 쉬운 우리 말 - 매다와 메다 (0) | 2014.07.11 |
---|---|
틀리기 쉬운 우리 말 -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(4) | 2014.07.07 |
틀리기 쉬운 우리 말 - 다리다와 달이다 (0) | 2014.06.28 |
틀리기 쉬운 우리 말 - 묻히다와 무치다 (0) | 2014.06.24 |
틀리기 쉬운 우리 말 - 짬짬이와 짬짜미 (0) | 2014.06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