틀리기 쉬운 우리 말

틀리기 쉬운 우리 말 - '-이'와 '-히'

슈라。 2014. 11. 6. 11:59

  '-이'와 '-히'


우리 말 중에는 발음이 비슷해서 헷갈리기 쉬운 표현들이 많이 있습니다. 정말 자주 헷갈리는 '-이'와 '-히'도 그 중 하나의 예로 볼 수 있는데요. '깊숙이/깊숙히', '가만이/가만히' 처럼 헷갈리는 표현들이 많이 있습니다.

이번 글에서는 '-이'와 '-히'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




  '-이'의 사전적 의미


  • (일부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)부사를 만드는 접미사.
    - 많이
    - 같이
    - 높이

  • (일부 1음절 명사의 반복 구성 뒤에 붙어)부사를 만드는 접미사.
    - 일일이
    - 겹겹이
    - 다달이 

(참고 : 국립 국어원 표준 국어 대사전)





  '-히'의 사전적 의미


  • (형용사의 어근이나 '-하다'가 붙어 형용사가 되는 어근 뒤에 붙어) 부사를 만드는 접미사.
    - 조용히
    - 무사히
    - 나란히
    - 영원히

(참고 : 국립 국어원 표준 국어 대사전)





  '-이'와 '-히'의 구분


'-이'와 '-히' 모두 어근 뒤에 붙어서 부사를 만드는 접미사입니다. 하지만 실생활에서 사용할 때 헷갈리는 경우가 아주 많습니다. 어떻게 구분하면 좋을까요?

한글 맞춤법 제51 항에서는 '-이'와 '-히'로 끝나는 부사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"부사의 끝 음절이 분명히 '이'로 나는 것은 '-이'로 적고, '히'로만 나거나 '이'나 '히'로 나는 것은 '-히'로 적는다."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. 설명은 간단하지만 실제 발음을 해 보면 명확하게 구분하기는 쉽지 않습니다. 

그래서 나름대로 쉽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없나 고민해 봤는데 이렇게 하면 조금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.


우선 '-히'의 사전적 의미에 따라 '-이'나 '-히'를 뺀 어근에 '-하다'를 넣어서 자연스러우면 '-히'가 맞는 것으로 봅니다. 이렇게 간단하게 구분이 되면 좋겠지만 여기에 예외사항이 있습니다.

  1. '-하다'를 뺀 어근의 끝소리가 'ㄱ(기역)' 받침으로 끝날 때 '-이'를 씁니다.
    - 깊숙이, 고즈넉이, 멀찍이, 두둑이 등
    - 하지만 여기에도 예외가 있으니... 
    '가득하다'에는 '-히'를 써서 '가득히'로 씁니다.

  2. '-하다'를 뺀 어근의 끝소리가 'ㅂ(비읍)' 받침으로 끝날 때는 '-이'를 씁니다.
    - 가까이, 너그러이, 새로이, 번거로이, 즐거이 등

  3. '-하다'를 뺀 어근의 끝소리가 'ㅅ(시옷)' 받침으로 끝날 때는 '-이'를 씁니다.
    - 깨끗이, 지긋이, 반듯이, 번듯이, 의젓이, 따뜻이 등

  4. '열심히'는 열심하다가 말이 안 되지만 '열심히'가 맞습니다.


요약해 보자면 '-하다'를 뺀 어근의 끝에 ㄱㅂㅅ(검버섯)이 있다면 '-이'를 쓰고 그 외에는 '-히'를 쓴다고 알아두면 모든 경우는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 구분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.

그 외에 극히, 급히, 딱히, 속히, 엄격히, 작히, 정확히, 족히, 특히와 같이 명확하게 발음되는 단어는 '-히'로 적습니다.

이상으로 '-이'와 '-히'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