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띄다'와 '띠다'
우리 말 중에는 발음이 비슷해서 헷갈리기 쉬운 표현들이 많이 있습니다. '띄다'와 '띠다'도 그 중 하나로 볼 수 있는데요.
실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면서도 틀리기 쉬운 단어들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'띄다'와 '띠다'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'띄다'의 사전적 의미
|
(참고 : 국립 국어원 표준 국어 대사전)
'띠다'의 사전적 의미
|
(참고 : 국립 국어원 표준 국어 대사전)
'띄다'와 '띠다'의 구분
'띄다'와 '띠다'가 헷갈릴 때 쉽게 구분할 방법은 없을까요? 두 단어의 쓰임을 유심히 살펴보니 아래와 같이 특징이 있습니다.
- '띄다' 의 쓰임 : ~에 띄다. (주로 '눈에 띄다'로 쓰임)
- '띠다'의 쓰임 : ~을(를) 띠다.
- 예외 사항 : '공간의 띄우다'의 의미를 갖는 경우 '~을(를) 띄다'를 사용.
이 정도만 알아두면 두 표현이 헷갈릴 때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.
이상으로 '띄다'와 '띠다'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'틀리기 쉬운 우리 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틀리기 쉬운 우리 말 - 금새와 금세 (0) | 2014.12.26 |
---|---|
틀리기 쉬운 우리 말 - 삭이다와 삭히다 (1) | 2014.12.20 |
틀리기 쉬운 우리 말 - 깍듯이와 깎듯이 (0) | 2014.12.05 |
틀리기 쉬운 우리 말 - 불거지다와 붉어지다 (0) | 2014.11.29 |
틀리기 쉬운 우리 말 - 안치다와 앉히다 (0) | 2014.11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