틀리기 쉬운 우리 말 136

틀리기 쉬운 우리 말 - 조취와 조치

'조취'와 '조치' 우리 말 중에는 비슷한 발음 때문에 잘못 쓰기 쉬운 단어들이 많이 있습니다. '조취'와 '조치'도 그 중 하나로 볼 수 있겠는데요. 인터넷을 이용하다 보면 이용자들이 쓴 글 뿐만 아니라 뉴스에서도 '조치'를 쓸 자리에 '조취'라고 쓴 경우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. '조치를 취하다'라는 표현 때문에 '조취'라고 잘못 쓰는 경우가 많은 것 같군요. 이번 글에서는 '조취'와 '조치'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'조취(臊臭)'의 사전적 의미 [같은 말] 누린내(1. 짐승의 고기에서 나는 기름기의 냄새). (참고 : 국립 국어원 표준 국어 대사전) '조치(措置)'의 사전적 의미 벌어지는 사태를 잘 살펴서 필요한 대책을 세워 행함. 또는 그 대책 - 후속 조치. - 선 조치 후 보고 - 조..

틀리기 쉬운 우리 말 - 금새와 금세

'금새'와 '금세' 우리 말 중에는 발음이 비슷해서 헷갈리기 쉬운 단어들이 많이 있습니다. '금새'와 '금세'도 그 중 하나의 예로 볼 수 있는데요. 글보다는 말로 많이 쓰는 표현이고 'ㅐ'와 'ㅔ'의 발음을 분명히 하지 않다 보니 글로 적을 때 헷갈리게 되는 것 같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'금새'와 '금세'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'금새'의 사전적 의미 물건의 값. 물건 값의 비싸고 싼 정도. - 금새(를) 치다 (어떤 물건의 시세나 값이 얼마 정도라고 정하다.) (참고 : 국립 국어원 표준 국어 대사전) '금세'의 사전적 의미 지금 바로. '금시에'가 줄어든 말로 구어체에서 많이 사용된다. - 소문이 금세 퍼졌다. - 불이 금세 옮겨 붙었다. - 날이 푹해서 내린 눈이 금세 녹았다. (참고 : 국립 국..

틀리기 쉬운 우리 말 - 삭이다와 삭히다

'삭이다'와 '삭히다' 우리 말 중에는 발음이나 의미가 비슷해서 헷갈리기 쉬운 단어들이 많이 있습니다. '삭다'라는 주동사에 사동 접미사 '-이-'와 '-히-'가 붙어 만들어진 '삭이다'와 '삭히다'도 그중 하나의 예로 볼 수 있는데요. 이번 글에서는 '삭이다'와 '삭히다'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'삭이다'의 사전적 의미 '삭다(4. 먹은 음식물이 소화되다)'의 사동사 - 돌도 삭일 나이 '삭다(5. 긴장이나 화가 풀려 마음이 가라앉다)'의 사동사 - 분을 삭이다. - 불쾌한 기분을 삭이다. '삭다(8. 기침이나 가래 따위가 잠잠해지거나 가라앉다)'의 사동사 - 생강차는 기침을 삭이는 데 좋다. - 이 약이 가래를 삭여 줄 거야. (참고 : 국립 국어원 표준 국어 대사전) '삭히다'의 사전적 의미 '삭..

틀리기 쉬운 우리 말 - 띄다와 띠다

'띄다'와 '띠다' 우리 말 중에는 발음이 비슷해서 헷갈리기 쉬운 표현들이 많이 있습니다. '띄다'와 '띠다'도 그 중 하나로 볼 수 있는데요. 실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면서도 틀리기 쉬운 단어들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'띄다'와 '띠다'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'띄다'의 사전적 의미 '뜨이다'(1. 눈에 보이다)의 준말 - 원고에 가끔 오자가 눈에 띈다. '뜨이다'(2. 남보다 훨씬 두드러지다)의 준말 - 빨간 지붕이 눈에 띄는 집 - 요즘 들어 아들의 행동이 눈에 띄게 달라졌어. 띄우다('뜨다'의 사동사)의 준말 - 한 줄을 띄고 써라. - 다음 문장을 맞춤법에 맞게 띄어 쓰시오. (참고 : 국립 국어원 표준 국어 대사전) '띠다'의 사전적 의미 (~에 ~을) 띠나 끈 따위를 두르다. - 치마가 흘러내리지..

틀리기 쉬운 우리 말 - 깍듯이와 깎듯이

'깍듯이'와 '깎듯이' 우리 말 중에는 발음이 같아서 헷갈리기 쉬운 단어들이 많이 있습니다. '깍듯이'와 '깎듯이'도 그 중 하나인데요.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을 해 보면 뉴스 기사에서도 '깍듯이'와 '깎듯이'를 잘못 사용하는 경우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'깍듯이'와 '깎듯이'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'깍듯이'의 사전적 의미 분명하게 예의 범절을 갖추는 태도로. - 깍듯이 대접하다. - 깍듯이 받들다. '깍듯하다'의 부사 (참고 : 국립 국어원 표준 국어 대사전) '깎듯이'의 사전적 의미 '깎다'의 어근 [깎]에 뒤 절의 내용이 앞 절의 내용과 거의 같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[-듯이]가 붙어 만들어진 말. - 사과를 깎듯이 돌려서 깎아라. - 연필을 깎듯이 부드럽게 밀어서 깎다. ..

틀리기 쉬운 우리 말 - 불거지다와 붉어지다

'불거지다'와 '붉어지다' 우리 말 중에는 발음이 같아 헷갈리기 쉬운 단어들이 많이 있습니다. '불거지다'와 '붉어지다'도 그 중 하나의 예로 볼 수 있는데요. 인터넷 기사나 게시 글을 보다 보면 두 단어를 혼동해서 사용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'불거지다'와 '붉어지다'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'불거지다'의 사전적 의미 물체의 거죽으로 둥글게 툭 비어져 나오다. - 구멍 난 양말 밖으로 발가락이 불거지다. - 두드러지게 불거진 눈 어떤 사물이나 현상이 두드러지게 커지거나 갑자기 생겨나다. - 커다랗게 불거진 소문 - 보안 문제가 불거지다. (참고 : 국립 국어원 표준 국어 대사전) '붉어지다'의 사전적 의미 빛깔이 점점 붉게 되어 가다. - 고추가 붉어지다. - 부끄러웠는지 소녀..

틀리기 쉬운 우리 말 - 안치다와 앉히다

'안치다'와 '앉히다' 우리 말 중에는 발음이 같아서 헷갈리기 쉬운 단어들이 많이 있습니다. '안치다'와 '앉히다'도 그 중 하나의 예로 볼 수 있는데요. '안치다'를 써야 할 곳에 '앉히다'로 잘못 쓰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'안치다'와 '앉히다'의 의미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'안치다'의 사전적 의미 밥, 떡, 구이, 찌개 따위를 만들기 위해 그 재료를 솥이나 냄비 따위에 넣고 불 위에 올리다. - 밥을 안치다. - 솥에 감자를 안쳤다. 어려운 일이 앞에 밀리다. - 눈앞에 안친 일이 많다. 앞으로 와 닥치다. - 언덕에 오르니 전경이 눈에 안쳐 왔다. (참고 : 국립 국어원 표준 국어 대사전) '앉히다'의 사전적 의미 앉다의 사동사 - 아이를 무릎에 앉히다. - 손님을 찬 바닥..

틀리기 쉬운 우리 말 - 지그시와 지긋이

'지그시'와 '지긋이' 우리 말 중에는 발음이 같아서 헷갈리기 쉬운 단어들이 많이 있습니다. '지그시'와 '지긋이'도 그 중 하나의 예로 볼 수 있는데요. 일상 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단어들인데 잘못 사용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'지그시'와 '지긋이'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'지그시'의 사전적 의미 슬며시 힘을 주는 모양. - 발을 지그시 밟다. - 그 사람을 지그시 노려보다. - 입술을 지그시 깨물다. - 눈을 지그시 감다. 조용히 참고 견디는 모양. - 통증을 지그시 참다. - 화가 치밀어 올랐지만 지그시 참았다. (참고 : 국립 국어원 표준 국어 대사전) '지긋이'의 사전적 의미 나이가 비교적 많아 듬직하게. - 그는 나이가 지긋이 들어 보였다. - 나이가 지긋이 든 노인 ..

틀리기 쉬운 우리 말 - 가르치다와 가리키다

'가르치다'와 '가리키다'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 중에서는 생김새나 발음이 비슷해서 헷갈리기 쉬운 단어들이 많이 있습니다. '가르치다'와 '가리키다'도 그 중 하나의 예로 볼 수 있을 텐데요. 주변에서 말이나 글로 쓸 때 두 단어를 혼동해서 사용하거나 아예 다른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. '가르치다'와 '가리키다'의 의미를 서로 바꿔 사용하는 경우도 많지만 '가르켜 주다', '알으켜 주다'와 같이 없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하죠. 이번 글에서는 '가르치다'와 '가리키다' 두 표현의 의미와 쓰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'가르치다'의 사전적 의미 지식이나 기능, 이치 따위를 깨닫게 하거나 익히게 하다. - 아이에게 한글을 가르쳤다. - 아내에게 운전을 가르쳤다. (주로 '버릇', '버르..

틀리기 쉬운 우리 말 - '-이'와 '-히'

'-이'와 '-히' 우리 말 중에는 발음이 비슷해서 헷갈리기 쉬운 표현들이 많이 있습니다. 정말 자주 헷갈리는 '-이'와 '-히'도 그 중 하나의 예로 볼 수 있는데요. '깊숙이/깊숙히', '가만이/가만히' 처럼 헷갈리는 표현들이 많이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'-이'와 '-히'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'-이'의 사전적 의미 (일부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)부사를 만드는 접미사. - 많이 - 같이 - 높이 (일부 1음절 명사의 반복 구성 뒤에 붙어)부사를 만드는 접미사. - 일일이 - 겹겹이 - 다달이 (참고 : 국립 국어원 표준 국어 대사전) '-히'의 사전적 의미 (형용사의 어근이나 '-하다'가 붙어 형용사가 되는 어근 뒤에 붙어) 부사를 만드는 접미사. - 조용히 - 무사히 - 나란히 - 영원히 (..